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3

[합격수기]133회 건축시공기술사 필기 합격수기(늦은 후기) 133회 건축시공기술사 합격수기133회 필기를 보고 난 뒤 나는 합격했다는 생각을 하지는 못했다 8번째 시험이었고 여느때와 다르지 않게 답안을 적었다고 생각했었다. 시험 당일날 5시 이후부터 같이 공부하는 분들께 전화가 왔고 당시 내가전화 했던 녹음파일을 다시 들으면 "4교시는 찍힘 문제가 너무 많았고,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가 낮았어요" 라는 말들과 더불어 만만한 교시가 없었다. 별 기대도 안하고 있던 찰나에, 합격자 발표인(6/19일 수)에 마음도 안좋고하여, 현장을 나가 9시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결과를 기대했다기 보다는, 내가 과연 몇점을 맞았고, 누군가는 3개월이면 한다는 수험기간을 30대 초반을 버려가면서 2.6년을 소비하는 내자신을 다시한번 되돌아 보고 싶었다.(30대 초반의 시간을 무엇.. 2024. 7. 20.
건설현장 품질검사 결과의 정보망 입력(CSI) 건설현장 품질검사 결과 정보망 입력어느날 CSI에 상기 이미지와 같은 공고가 떳다, 건진법 제55조 제3항 개선에 따른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에 품질관련 자료를 업로드 하라는 것이다.   제55조(건설공사의 품질관리) ①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등록업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는 그 종류에 따라 품질 및 공정 관리 등 건설공사의 품질관리계획(이하 “품질관리계획”이라 한다) 또는 시험 시설 및 인력의 확보 등 건설공사의 품질시험계획(이하 “품질시험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고, 이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경우 발주청이 아닌 발주자는 미리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의 사본을 인ㆍ허가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등록업자는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 2024. 6. 8.
바닥충격음 차단구조란?(마감모르타르 강도 관련) 층간소음 차단구조란? 제41조(바닥충격음 성능등급 인정 등) ① 국토교통부장관은 제35조제1항제2호에 따른 주택건설기준 중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의 성능등급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인정하는 기관(이하 “바닥충격음 성능등급 인정기관”이라 한다)을 지정할 수 있다.② 바닥충격음 성능등급 인정기관은 성능등급을 인정받은 제품(이하 “인정제품”이라 한다)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 인정을 취소할 수 있다. 다만, 제1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인정을 취소하여야 한다.1.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인정받은 경우2. 인정받은 내용과 다르게 판매ㆍ시공한 경우3. 인정제품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 품질관리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한 경우4. 인정의 유효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시험결과를 제출.. 2024. 6. 7.
132회 건축시공기술사 기출문제(2024.01.27) 1교시1. 건축물 축조 시 건축기준의 허용오차 2. 건설 신기술 선정 시 차수별 심사기준 3. 연돌효과(Stack Effect)의 원인과 개선방안 4. 건설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절차 5. 가설 공사의 잭서포트(Jack Support) 6. 용접부 비파괴 검사 중 침투탐상 검사 시 유의사항 7. 지진에 대응하는 면진구조 계획 시 고려사항 8. 건설공사에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9.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 걸침길이와 시공 시 유의사항 10. 유리공사의 요구성능 및 저방사(Low-e)유리의 특성 11. 지하 안전 영향 평가 분류 및 평가 항목 12. 현장 배합 시 잔골재의 표면수율13. 보 철근 조립 시 피복두께 및 이음위치 2교시1.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거푸집 중.. 2024. 6. 4.
131회 건축시공기술사 기출문제(2023.08.26) 1교시1. 흙의 압밀현상(consolidation) 2. LCC(life cycle cost)에서 현재가치화법 3.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상의 탄소중립도시와 녹색 건축물의 정의 4. 지하층 마감공사에서 결로수 처리를 위한 지하 이중벽 구조5. 커튼월 공사 시 시공단계의 유의사항 6. 철근의 부동태 피막 파괴 시 영향 7. PC(precast concrete) 접합부의 요구 성능과 현장 접합시공 시 유의사항 8. 철골공사에서 내화피복공사의 공법별 검사 9. 가설공사비의 구성10. PEB(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11.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의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 12. 골재 함수상태(4가지) 13. 철근콘크리트보의 유효높이(ef.. 2024. 6. 4.
130회 건축시공기술사 기출문제(2023.05.20) 1교시1. 시스템 비계 설치 기준 2.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성화 방안 3. 말뚝공사의 부마찰력 4. 석면해체 사전허가제도 5. 액상화 현상 6. 강우 시 콘크리트 타설 7. 잔골재율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8. 철골공사의 엔드탭(End tab) 9. 설계 경제성 평가(VE)의 원칙과 수행시기 및 효과 10. 국내 기술형 입찰제도의 종류와 특징11.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 12. 철골공사의 내화피복공법 13. 철골공사 주각부 시공 시 유의사항 2교시1. 안전관리 계획수립의 기준 및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데크 플레이트 상부의 콘크리트 균열발생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의 등급기준과 층간소음저감을 .. 2024.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