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공학시선/건축현장이모저모14

기포콘크리트의 종류(0.5품의 의미) 기포콘리트 발주시 유의사항 - 최근 층간소음등의 이유로 단위세대 내의 바닥 평활도 및 층간소음차단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아파트와 같은 주택은 소비자의 자산의 투자목적 및 큰 목돈이 들어가는 매개체 이기도 하고 삶의 기반이 되는 주택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저자와 같이 시공사에 다니면서, 기포콘크리트를 발주하는 사람으로서, 정리해야할 기포콘크리트의 숙지내용을 남겨보려고 한다.   기포콘크리트   - 기포콘크리트는 통상 x-l배관(편하게 말하면,바닥 난방을 위해서 설치하는 보온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시공하는 콘크리트로서, 경량이며, 시공성이 우수하여, 평활도 유지가 유용하다.  -이에, 시공도면에서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규정은 없으며, ks시방서 등을 고.. 2024. 5. 22.
가설건축물 해체 신고 1.가설건축물 해체 신고란 -전라도 광주에서 현대산업개살의 해체공사시 붕괴로 인해, 법개정이 이루어진 사실을 공공연한 사실이다. - 건축물관리법 개정[시행 2022.08.04.]에 인해서 건축물 해체 허가(신고)에 관한 절차가 대폭 강화되었다. 이에 건축물 해체신고를 하지 아니하면, 1년징역 혹은 1천만원 이하의 벌금 부과대상이 되었다. - 더불어 신고대상도 원래는 일반 관리자 였는데 기술자가 신고하게 개정되었다. - 실무자 입장에서는 일 한개가 더생긴것이겠지만, 그래도 불편한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2.가설건축물 해체 신고대상 -일부해체 시 : 주요구조부(건축법 제2조제1항제7호)를 해체하지 않는 건축물의 해체 - 전면해체 시 : 여면적 500m2 미만/건축물높이12m미만/지상층 지하층을 포함한 2개층.. 2023. 11. 8.
타워크레인 안전관련 1.정의 및 종류 수직타워의 상부에 위치함 지브를 선회시켜 중량물을 상하,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원동기 또는 전동기를 가진 것을 말한다. 다만 “산업직접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 16조에 따라 공장등록대장에 등록된 것은 제외한다. t-tower luffing crane top-less 2.반입기준 구분 내용 비고 법적기준 •타워크레인 내구연한 규정 中 - 타워크레인 마스트용 볼트 및 핀 : 5년 (2019년 9월19일 시행) •정밀진단 (제조일로부터 10년이상 경과된 장비에 한함) •건설기계 장치 및 부품 (2019년 3월19일 시행 - 타워크레인 텔레스코핑의 유압실린더 - 타워크레인 감속기의 브레이크라이닝 -기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장치 및 부품 •정밀진단업무 à .. 2023. 9. 3.
[환경관리비] 슬러지 건설오니 반출시 성분검사 관계법령 1.환경관리비 환경관리비"란 건설공사로 인한 환경 훼손 및 오염의 방지 등 환경관리를 위해 공사비에 반영하는 비용을 말하며, '환경보전비'와 '폐기물 처리비'로 구분한다 /환경관리비 산출기준 및 관리에 관한 지침(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D%99%98%EA%B2%BD%EA%B4%80%EB%A6%AC%EB%B9%84%EC%9D%98%EC%82%B0%EC%B6%9C%EA%B8%B0%EC%A4%80%EB%B0%8F%EA%B4%80%EB%A6%AC%EC%97%90%EA%B4%80%ED%95%9C%EC%A7%80%EC%B9%A8/(2018-528,20180830)) 2.세륜기 후 나오는 슬러지 반출 -반출을 위해서는 폐기물관련된 .. 2023. 1. 29.
건설현장의 민주노총 횡포에 대하여 1.민주노총이란 1)민주노총 최근 민주노총을 타도하겠다는 원희굥 국토부장관의 발언들이 언론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개인적으로 민주노총을 타도하는것에 매우 동의하는 사람인데, 정치적인 글이 아님을 본문 전에 밝히며, 글을 써보려고 한다. 민주노총이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약자로서 실무자들은 민노, 한노(한국노총)등으로 불리우고 전국에서 그래도 규모가 있는 노조라고 보면 되겠다. 현대차 노조와 같이 1개 회사에 얽메여 있는 노조가 아니라 전 산업군에 속한 노동자들을 노조로 가입시켜서 시위나, 본인들의 활동에 참여시킨다고 보면되고, 세계 어느나라나 노조는 존재하고 노조의 순기능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노조란 노동자를 생각하는 집단이지 노조에 속한 노동자만을 생각한다는 행동하에 활동을 진.. 2023. 1. 23.
현장대리인의 조건(기술사 없으면 현장대리인 못하는가?) #서 나같은 건축직들은 현장대리인=현장소장이 되는것이 일반적은 최종 직급이다(그외 팀장, 임원등은 별도이야기) 아마 시공사에 다니는 건축직이라면, 인정받아서 현장대리인이 되려는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다만 최근에는 안전문제와 더불어서 공동주택 같은경우에는 민원의 소지가 너무 심해지고 기사로 접하는 품질문제, 사회문제, 층간소음 등의 복합적인 사항들의 책임이 현장대리인에게 직결되기 때문에, 큰 RISK가 있는 위치가 되어버렸다.(기존에도 큰 위치였다) 하여, 현장대리인 선임에는 몇가지 규정이 있는데 짚어보려고 한다. #본 1)건설기술인을 현장에 1명 이상 배치해야한다.(근거 건설산업기본법 제40조) 제40조(건설기술인의 배치) ① 건설사업자는 건설공사의 시공관리, 그 밖에 기술상의 관리를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2023. 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