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시공기술사/건축시공기술사정보14 [건축시공기술사] 최종합격 후기(24.12.06 발표) 기술사 면접2회차 기술사 면접은 일요일(24.10.27)에 진행되었다. 기존에는 수요일 평일에 면접일이 잡혀서, 부담이였는데 일요일이라서 휴가도 쓰지 않고 현장일을 잘 마무리하고 올라갈 수 있었다. 면접을 처음 볼때만하더라도, 필기보다 쉬우니까, 나는 면접을 떨어져 본적이 없으니까라는 생각으로 1회차 면접을 봤는데, 너무 어려운 문제들을 물어보고(나중에 보니 일본에서 쓰는 공법을 질문했었다) 떨어져버린 나는 1회차 대비 너무 긴장하였다. 2회차도 마찬가지로 면접장 앞에 카페에서 대기하면서 내가 잘할수 있는 답변과 말문이 막혔던 문제들을 되세기면서 면접을 준비했다. 면접시간이 다되었고, 이번에는 9번부스에 1번으로 배정받아 1회차처럼 1번쨰 라운드 수험생이 되었다. 매우 긴장한 상태로 들어갔다. 면접질.. 2025. 1. 17. [면접후기] 133회 건축시공기술사 면접 후기 2024.07.31일 건축시공기술사 면접을 보고 왔다. 건축시공기술사를 포함해서 기술사 면접은 처음이였고, 필기는 7전8기만에 합격한데에 비해, 면접 경험은 전무 했어서 학원 면접반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기존적인 시간의 흐름은 6.21 합격자 발표- 7.29 or 31 면접-8.21일 면접결과 발표 절차로 최종 발표가 나는데 7.31일 2번째 타임(12:30)으로 접수를 하고 학원을 통해 준비를 했다. 학원을 통해서 면접시 행동강령, 기술사윤리강령을 확인하고 말하기 연습등을 진행했다 7.29일에 등록하고 싶었지만, 그래도 하루정도 여유를 주자는 마인드로, 31일로 접수를 하였는데, 아는지인이 29일 마지막타임(15:30)에 질의 받았다면서, 문제를 공유해주셨다. 7.29일 15:30분 질의사항자기.. 2024. 8. 7. [합격수기]133회 건축시공기술사 필기 합격수기(늦은 후기) 133회 건축시공기술사 합격수기133회 필기를 보고 난 뒤 나는 합격했다는 생각을 하지는 못했다 8번째 시험이었고 여느때와 다르지 않게 답안을 적었다고 생각했었다. 시험 당일날 5시 이후부터 같이 공부하는 분들께 전화가 왔고 당시 내가전화 했던 녹음파일을 다시 들으면 "4교시는 찍힘 문제가 너무 많았고,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가 낮았어요" 라는 말들과 더불어 만만한 교시가 없었다. 별 기대도 안하고 있던 찰나에, 합격자 발표인(6/19일 수)에 마음도 안좋고하여, 현장을 나가 9시가 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결과를 기대했다기 보다는, 내가 과연 몇점을 맞았고, 누군가는 3개월이면 한다는 수험기간을 30대 초반을 버려가면서 2.6년을 소비하는 내자신을 다시한번 되돌아 보고 싶었다.(30대 초반의 시간을 무엇.. 2024. 7. 20. [129회] 건축시공기술사(나의 목차 기록 및 리뷰)-용어편 어제 건축시공기술사 129회 시험을 치뤘다. 이번이 4번째 시험이여서 붙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지만,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모르겠다. 총평 : 시간은 부족했지만, 나름 가져간 나만의 전략을 쓰니, 시간분배가 성공적이였다,(한개 교시는 마지막에 폭풍으로 쓰긴 헀지만...) 전에 많이 부족했던것을 감안하면, 나름 성공적인 개선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각 교시 문제를 공유하고 리뷰해보려고한다. 1교시 1. 건설소송에서 기성고 비율 - 아예 나올지 몰랐다. 2.건설프로젝트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 - 알지 못하는 문제였지만, 공급을 체인(연속적을)하는 관리라고 유추하여, 접근했다. 1)scm의 개념 2)cm의 개념도(acm scm xcm 3가지 비교), 3) scm의 특징 4) ac.. 2023. 2. 5. 기술사 점수 계산기 #서 처음에 기술사를 취득하고 싶어서, 정보를 알아볼때, 도대체 점수 계산을 어찌 하는건지 의문이 들었다. 사실 내 머리가 나쁜건 알고 있었지만, 내가 몇점을 맞아야 되는건지 환산기준이 무었인지 정리해볼 맘이 없었던거 같기도하다. 기본적으로 이런 환산 개념이 필요한 이유는 총점이 몇점이 나와야 하며, 그러기 위해선 1문제에 맞아야할 최저점을 역산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의미로 사전에 미리 정리를 했어야 했다. 나는 학원을 다니면서, 문제당 최저점을 들은 상태였지만, 독학하시는 분들이 계실수 있다는 판단하에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본 1) 교시와 문제수 우선 기술사는 4개의 교시로 이루어진다. 1교시=용어 - 용어는 총 13개의 문제가 주어지며, 13개 중 10개를 선택하여 작성하면 된다. 2~.. 2022. 8. 20. 127회 답안지 번호체계 관련 이슈 정리 #서 업무를 하는 중에 이러한 문자가 왔다. 발신자는 큐넷이다. 뭔가 두려웠다. 학원에서도 번호체계에 대한 이슈가 있었는지, 문자가 날라왔다. 무슨 문제인지 궁금함과 동시에 뭔일인가 싶었다. 본론으로 들어간다. #본 번호체계란 기술사 시험은 서술형 시험으로, 답안의 목차를 제시할때 사용하는 번호(목차의 위계)의 체계를 말하며, 특별한 제한사항을 두지는 않았었다. 그러다가 사회적으로 컨닝의 시발점이 되기도하고, 부정채점의 시발점이 되기 때문에, 기사화된적도 많다. 이게 뭐라고 컨닝에 부정채점이라늬 .. 우선 내용을 살펴보도록하자 해당 양식의 가장 큰 이슈는 1page에 나오는 답안 작성요령에 있다. 해당 답안 파일은 큐넷-고객지원-기술사-각종서식에서 받을수 있는데, 기존에는 문서체계를 제시하는 번호체계로 .. 2022. 4. 13.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