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정의
시공자가 사업발굴, 기획, 설계, 시공, 시운전, 유지보수 등 설계시공 일괄 도급하는 계약제도
2.턴키의 개념도 및 대상공사
1) 추정금액 300억 이상
2) 300억 미만의 신규복합공사
3) 일괄 대안입찰이 곤란한 경우
3. 턴키 공사의 특징
| 장점 | 단점 | 
| 책임 시공으로 공기단축 | 발주자의 사업 참여 제한 | 
| 책임 한계가 명확함 | 발주 준비에 많은 시간 소요 | 
| 창의성 있는 설계 유도 | 시공사에 리스크 전가 | 
| 설계/시공 관리 양호 | 입찰 참여 제한적 | 
| 공사비 절감(ve) 가능 | 공사비 산정 어려움 | 
4. 턴키와 CM 방식의 비교
| 목적 | 턴키 | CM | 
| 목적 | 시공자 이윤 추구 | 발주자 이익증대 | 
| 이행 방식 | 도급계약 | 발주자의 위임 | 
반응형
    
    
    
  '건축시공기술사 > 용어_가설 및 계약 단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설 및 계약] 용어-실비정산 보수가산식 도급 요약하기 (0) | 2024.08.19 | 
|---|---|
| [건축시공기술사-가설 및 계약] 용어-PAPER JOINT (0) | 2024.08.14 | 
| [건축시공기술사-가설 및 계약] 용어-공동이행과 분담이행 비교 (0) | 2024.08.12 | 
| [건축시공기술사-가설 및 계약] 용어-공동도급 (0)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