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3

안전관리비(건진법, 산안법 구분) #서중대재해법 이후 안전관리에 매우 중요한 issue가 발생했다. 그러다가 요즘 착공초기에 안전관리계획서 등 발생하는 안전관련 행위의 집행 품의가 올라온다. 그런데 여기서, 산안법인지, 건진법 기반인지 구분을 하고 집행을 하지 않으면 복잡하겠더라 나도 그런데 현장에 바쁜일을 하는 건축인들이 안전까지 보는건 너무 힘들것 같다. 해서  정리한번 해보고 가려고 한다.    #본본 지는 착공 초기에 발생하거나 정기점검에 해당하는 행위들이다 산업안전보건법(고용노동부)1.유해위험방지계획서2.산업안전보건관리비 집행가능 품목3.사업장 순회점검4. 산업재해 조사5. 관련서류 작성 에 관한 업무는 산안비로 털수있다. 건설기술진흥법(국토부)1. 국토안전관리원 관련2. 안전관리계획서3. 건진법 안전관리비 가능 품목4. 정기안.. 2022. 4. 22.
127회 답안지 번호체계 관련 이슈 정리 #서 업무를 하는 중에 이러한 문자가 왔다. 발신자는 큐넷이다. 뭔가 두려웠다. 학원에서도 번호체계에 대한 이슈가 있었는지, 문자가 날라왔다. 무슨 문제인지 궁금함과 동시에 뭔일인가 싶었다. 본론으로 들어간다. #본 번호체계란 기술사 시험은 서술형 시험으로, 답안의 목차를 제시할때 사용하는 번호(목차의 위계)의 체계를 말하며, 특별한 제한사항을 두지는 않았었다. 그러다가 사회적으로 컨닝의 시발점이 되기도하고, 부정채점의 시발점이 되기 때문에, 기사화된적도 많다. 이게 뭐라고 컨닝에 부정채점이라늬 .. 우선 내용을 살펴보도록하자 해당 양식의 가장 큰 이슈는 1page에 나오는 답안 작성요령에 있다. 해당 답안 파일은 큐넷-고객지원-기술사-각종서식에서 받을수 있는데, 기존에는 문서체계를 제시하는 번호체계로 .. 2022. 4. 13.
127회 기술사 시험 D-4(일주일전 행동강령) #서 드디어 기술사 시험이 1주일이내로 남았다. 보통같으면 전주에 학원 모의고사를 하기도, 밀린 공부를 하기도, 다급해진 마음을 붙잡아보려 여러가지 일을 했을것이다. 학원에서 나눠주는 예상문제는 용어 + 서술 포함 300문제 정도가 되는데, 이것은 평소에 답안을 작성해본 문제라고 가정하고 시작하는것 같다. 하여 보다 다급해진 마음을 붙잡기 위해 몇가지 나만의 행동루틴을 공개하기로 했다. #본 1.기출문제 되새김질 101~126회까지 문제를 되새김질한다, 여기서 126회 점수가 망나니 점수긴 했지만, 그럼에도 내가 보고갔던 문제가 많이 나왔다. 어 이거 내가 첨보는 문제인데 했던것들 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포인트★는 서술문제가 용어로 크로스해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는 거였다. 그래서 자신감 있게 작성했다... 2022. 4. 12.
안전관리비 사용항목(건진법, 산업안전보건법) #서첫 현장에 갔을때 많이들 하는말이 "안전관리비로 선그라스좀 사주면 안되냐?" 이런식의 농담을 하는 경우가 있다. 진짜 받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만큼 뭐 안전관리비에 대해서 여윳돈이라고 생각하는것 같았다. 그때는 그랬다.  그러다가 중대재해법이 선포가 되고, 안전에 대한 인식이 좀 각박해질 무렵, 나는 본사에서 pm팀에 근무하고 있었다. 근무하고 있으면 보통 관리 업무는 사실 짬도 좀 있고, 경력도 많은 선배님들이 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는데,  건설은 어딜가나 인력난이다. 하여 운이 좋게 본사로 들어오게 되었다. 그러다가 착공단계 현장의 품의를 올리는데, 안전관리계획서, 가설구조물 검토, 이런것들이 올라오는거다. 물론 나는 공무를 해보지 않았고, 그냥 무의식이였는데, 요즘 원자재값도 올라가니, 안전관리.. 2022. 4. 11.
건축시공기술사의 전망?(비관적?, 낙관적?) #서 22.04.16 127회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같이 공부를 하는 분들께 이런저런 말들을 듣게되는데, 보통 시험 준비하시는분들은 전망에 대해서 멀리 보기보다는 당장 내가 하고 있는 업이기 때문에 최선을 다한다라는 마인드가 지배적인것 같다.(필자 주변의 표본임) 그런데 주말에 불러서 놀자는 친구들이나 기술사를 따서 뭐하냐 혹은 딸지 고민이 된다라는 친구들도 있는데, 그런 친구들이 검색했을때 합리적인 글을 남겨보고 싶다. #본 분야를 막론하고 기술사는 기술자격증 중 명예가 있는 자격증이다. 취득 난이도, 취득을 위한 시간, 투자, 등은 개인마다 상이할지 언정 명예로운 자격증인 것은 틀림이 없다. 그런데 여기서 필자의 주변 지인들에게 받은 질문이 있다. 물론 필자는 이번에도 시험을 봐야.. 2022. 4. 10.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v2(세부적용) #서 품질관리자 배치기준 이전글을 참고하시면 어느정도 공사규모와 발생문서에 따른 품질관리자 배치기준의 개념은 인지할수 있을거라고 본다. https://developers90.tistory.com/22 필자도 이러한 자신감을 통해서 착공신고를 할때 품질관리 선임대상을 선정하고 고르는데 나름의 뿌듯함과 나름의 자부심으로 착공준비를 마치고 현장발령난 선배님께 말씀을 드렸더니 정의 판단이 잘못되었다고 했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난 이때, 발생문서로 구분하는 방법의 적용방법이 어색했기 때문에 배치기준을 잘못 판단한것이다. 그래서 v2를 통해 내가 틀렸던 문제를 기록하고 정리해보겠다. #본 해당 착공프로젝트는 1천억이 넘는 제약공장을 신축하는 공사였다. 여기서 1천억이라는 공사규모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규칙 [별표.. 2022. 4. 9.
반응형